인터넷 공유기 : 가정용 라우터
공인ip: 공유기에 할당됨. 전세계에서 단 하나씩만 있다.
사설ip: ip번호를 부여한 주체가 공유기이다. 공유기가 새로 발급해준 ip 주소.
인터넷은 공인ip를 할당받은 기기(공유기 등)의 경로까지만 알고, 사설ip의 존재는 모른다.
외부 서버로 요청을 보낼 때에는 공인ip를 통한다. ( NAT 기능)
내부ip와 어플리케이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포트"를 사용한다. (PAT 기능)
ifconfig: 사설ip주소 확인가능한 명령어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tgresql 서버의 유저, 권한 개념 (0) | 2024.10.24 |
---|---|
CSS 선택자(Selector) : 자식선택자, '>' (0) | 2021.11.28 |
도커 사용법 (0) | 2021.04.30 |
[node.js] authentication, passport-local-mongoose 모듈 사용법 (0) | 2021.04.06 |
cURL 명령어 (0) | 2021.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