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6) 썸네일형 리스트형 [node.js] authentication, passport-local-mongoose 모듈 사용법 passport-local-mongoose 모듈은 passport를 이용한 local로그인을 간편하게 해주는 Mongoose 플러그인이다. 공식 문서 : github.com/saintedlama/passport-local-mongoose#api-documentation (이 글은 위의 공식 문서를 번역한 것입니다.) 1. 설치하기 Passport-local-mongoos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assport와 mongoose도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2. 사용하기 1. Passport-Local Mongoose 플러그인하기 우선 User 스키마에 Passport-Local Mongoose를 플러그인 해야한다. User을 어떻게 디자인하든지는 상관 없다. Passport-Local Mongooes가 Us.. cURL 명령어 curl 명령어란? (cURL) - URLs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커맨드라인 툴 및 라이브러리 - Linux, Mac OS에는 기본 탑재되어 있는 명령어. Windows의 경우 따로 설치가 필요하다. - curl은 스크립트나 커맨드 라인에서 정보를 전송하기위해 사용된다. 자동차, 텔레비전, 라우터, 프린터, 오디오 기기, 핸드폰, 태블릿 등에서 사용되고 여러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되고있다고 한다. - postman에 있는 여러 기능들을 curl에서도 다 사용할 수 있다. - 주소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 쿠키를 저장하거나, 저장한 쿠키를 헤더에 추가해 요청하는 등의 기능이 있다. [node.js] passport 모듈 사용법 passport의 공식 홈페이지로부터 참고하여 정리해 올립니다. www.passportjs.org/docs/ 이 글은 local-login 전략에 대해서만 설명합니다. 기본 동작 login경로로 post 요청이 들어오면, passport.authenticate() 미들웨어로 인증 절차를 거친다. 인증이 성공한다면, 다음의 handler가 실행되고, req.user 프로퍼티가 인증된 유저에 세팅된다. passport.authenticate()안에는 사용할 인증 전략(strategy)를 넣어준다. 인증 전략은 라우터에서 이 미들웨어를 사용하기 전에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이 경우는 local로그인 전략을 사용한 것이다.) passport 사용을 위한 환경 설정하기 authentication을 위해 pass.. 이전 1 ··· 5 6 7 8 9 다음